“피부재생”, “염증완화”? 화장품 광고, 어디까지 허용될까?
목차 과연 피부에 좋다는 말,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요?‘피부재생’, ‘염증완화’, ‘진피층 침투’… 그럴듯한 표현이 넘치는 온라인 화장품 광고들. 하지만 이러한 문구 뒤에 법적 위반이 숨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습니까?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부당광고 적발 사례는 화장품 산업에 종사하는 이들이 반드시 주목해야 할 경고입니다. 부당광고 적발 현황: 총 83건, 책임판매업체도 예외 아냐식약처는 2025년 8월, 온라인상 화장품 광고를 전수 점검한 결과, 총 83건의 부당광고를 적발하였습니다. 이 중 상당수는 소비자가 화장품을 의약품으로 오인하게 하거나, 기능성 화장품으로 착각하게 만드는 표현이었습니다.의약품으로 오인 우려: 53건 (64%)화장품의 범위를 벗어남: 25건 (30%)기능성화장품 ..
2025. 8. 6.
의약외품 심사자료 제출요건 총정리
목차 안전성‧유효성 심사 대상 제품 중심 안내 의약외품 중 일부는 단순 신고만으로 유통할 수 없고,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정식 심사를 거쳐 허가를 받아야 하는 품목으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경우, 민원인은 해당 제품의 특성에 따라 정해진 안전성·유효성 심사자료를 준비하여 제출해야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심사자료 항목별 제출 요건과 주요 품목별 제출 범위를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어떤 경우에 심사자료를 제출해야 할까?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안전성·유효성 심사자료 제출이 필수입니다:기존 허가제품과 성분, 분량, 제형, 효능·효과, 용법·용량이 다른 경우신규 성분 또는 신소재가 포함된 경우국내 사용례가 없거나,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은 첨가제가 사용된 경우흡입형 제제, 치약제, 마..
2025. 7.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