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계약.판례

사용자와 근로자의 관계, 법적 기준과 판례로 알아보기

by 청효행정사 2025. 7. 2.

목차

     

    비즈니스 배너

     


     

    핵심 정보 요약

    근로자와 사용자 간의 법적 관계는 단순히 계약서에 적힌 형태만으로 판단되지 않습니다. 근로기준법과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종속적 관계’ 여부가 핵심 판단 기준입니다. 이를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고용주가 본의 아니게 법 위반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근로자의 법적 정의와 종속적 관계의 판단 기준을 상세히 살펴봅니다.

     

    근로자와 사용자의 법적 정의

    근로자의 정의

    「근로기준법」 제2조는 다음과 같이 규정합니다.

    • 근로자란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자를 의미합니다.
    • 임금이란
      사용자가 근로의 대가로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일체의 금품을 뜻합니다.
      (예: 월급, 상여금, 수당 등)

    즉, 근로자란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하는 사람’입니다.

     

     

    사용자와의 관계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급하는 주체이며, 근로기준법상 사용자로서 의무를 가집니다.
    하지만 모든 계약 관계가 사용자-근로자 관계로 인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단순한 계약이 아닌 '종속적 관계'가 핵심

    판례 기준

    대법원은 단순히 계약서의 명칭이나 형식이 아닌, 실질적 관계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대법원 2006.12.7, 2004다29736 판결]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인지 여부는 계약의 형식이 고용계약인지 도급계약인지와 무관하며,
    실질적으로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 관계에서 근로를 제공하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

    종속적 관계의 판단 요소

    다음과 같은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 업무 수행 과정에서 지휘·명령을 받는지
    • 근무 장소와 근무 시간이 사용자에 의해 정해지는지
    • 사용자의 사업조직 내에 편입되어 있는지
    • 노무 제공의 대가로 기본급이나 고정급이 존재하는지
    • 근로소득세 원천징수 여부
    • 4대 보험 가입 여부

    단순한 지표에 대한 경고

    다만 법원은 이렇게 덧붙입니다.

    • "기본급 지급 여부, 4대 보험 가입, 원천징수 등은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요소이므로,
      이것만으로 근로자성을 부정해서는 안 된다.
      "

    실질 판단의 중요성

    사용자 입장에서 확인할 사항

    • 단순한 외주, 프리랜서, 용역 계약이라 하더라도
      업무 지시, 근무시간 통제, 사업장 내 편입 등 종속성이 존재한다면 근로자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근로자 입장에서 확인할 사항

    • 계약서에 '프리랜서' 또는 '용역'으로 명시되어 있어도
      실질적으로 지휘·감독을 받고 일정한 근무 형태를 따른다면
      근로기준법의 보호 대상인 근로자에 해당합니다.

    왜 근로자성 판단이 중요한가?

    사용자 측 법적 리스크

    • 근로자성이 인정될 경우
      미이행 시 최저임금법, 주휴수당, 연장근로수당, 퇴직금, 4대 보험 미가입 등 법적 책임이 발생합니다.

    근로자 측 보호

    • 근로자성이 인정되면
      임금 체불, 부당해고, 산업재해 보상 등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결론 없이 실무적 인사이트

    사용자와 근로자 간의 관계는 계약서 명칭으로 결정되지 않습니다.
    '누가 누구의 지휘·명령을 받으며, 어느 정도로 종속되어 있는가'가 핵심입니다.
    이 부분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판단 없이는 사용자도, 근로자도 법적 리스크를 피할 수 없습니다.

     

     


     

    네임카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