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의약품안전처

축산물 자가품질검사,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by 청효행정사 2025. 6. 24.

목차

     

    비즈니스 배너

     


     

     

    2025년 6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축산물 제조·생산자가 스스로 품질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축산물 자가품질검사 안내서」**를 새롭게 제정해 발간하였습니다. 이 안내서는 다양한 축산물 유형에 따라 필요한 검사 항목과 검사 주기, 기록관리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담고 있어, 축산업계 종사자뿐만 아니라 식품 안전 관련 공무원에게도 실질적인 업무 지침이 될 수 있습니다.

     

    자가품질검사란 무엇인가요?

    자가품질검사는 축산물 제조·생산 영업자가 제품이 관련 기준·규격에 적합한지 스스로 확인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단순한 내부 관리 차원을 넘어, 법적으로 요구되는 안전관리 의무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번 안내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축산물 유형별 검사 항목 명시

    제품 유형에 따라 요구되는 검사 항목이 상세히 안내됩니다. 예를 들어, 살균 여부, 멸균 처리 유무, 가공 방식에 따라 검사 항목이 달라지며, 이러한 정보는 영업자가 자가검사를 수행할 때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2. 자주 묻는 민원사항 반영

    국민신문고 및 유선 상담을 통해 접수된 실제 민원 내용을 분석하여, 검사 주기 설정, 최소 검사 품목 수, 검사 결과 기록 관리 요령, 검사 면제 요건 등의 질의응답(Q\&A)이 안내서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실무 담당자가 현장에서 직접 참고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3. 담당 공무원을 위한 현장 활용 자료

    이 안내서는 단지 민간 영업자를 위한 매뉴얼이 아닌, 현장 행정 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들에게도 실용적인 지침서가 됩니다. 법령 근거와 민원 사례를 바탕으로 다양한 상황에 대한 기준을 명확히 제시합니다.

    4. 안내서 활용법

    해당 안내서는 식약처 누리집에서 누구나 내려받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축산물+자가품질검사+안내서(게시용).pdf
    1.43MB

     

    식약처의 기대 효과

    식약처는 이번 안내서 발간을 통해 영업자의 자율적인 품질관리 역량을 높이고, 축산물의 안전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현장 수요에 맞는 실무 중심 자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네임카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