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굴은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해산물로, 2022년 기준으로 세계 시장 규모가 약 6억 달러에 이릅니다. 한국은 연간 약 30만 톤의 굴을 생산하며 세계 2위 생산국, 1만 톤을 수출하는 세계 3위 수출국으로서 굴은 김과 참치에 이어 주요 수출 품목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굴 수출액은 2015년 이후 8,000만 달러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고령화 및 시설 노후화와 같은 구조적인 문제가 산업 발전을 저해하고 있습니다.
이번 발전방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2030년까지 굴 생산량을 10만 톤 추가 확대하고 굴 수출액 1억 6,000만 달러를 달성하기 위한 세 가지 주요 전략을 제시합니다.
굴 양식산업의 경쟁력 강화 전략
1. 생산 현장의 혁신
굴 양식 집적화단지와 전용어항 조성
굴 주요 산지인 경남 통영, 거제, 전남 여수에는 약 400여 개소의 굴 까기 가공공장이 분산되어 있어 효율적인 운영에 제약이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굴 양식 집적화단지와 전용어항 조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 과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개선할 계획입니다.
자동화 및 첨단화 추진
굴 생산의 대부분은 여전히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 세척기, 탈각기와 같은 맞춤형 장비를 개발·보급하고, 자동 해상 작업선 도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작업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입니다.
2. 내수 창출 및 수출 다변화
내수 시장 확대
국내에서는 주로 알굴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넘어 굴을 활용한 다양한 가공제품을 개발하여 새로운 소비 패턴을 유도할 계획입니다. 가공업체를 지원해 혁신적인 굴 가공품을 제작·판매하도록 장려하고, 이를 통해 내수 시장을 활성화할 방침입니다.
개체굴 생산 확대
유럽 시장에서 선호하는 개체굴은 현재 국내 생산량의 1% 미만에 불과합니다. 이를 30%로 확대하기 위해 일반굴 양식어민의 개체굴 전환을 지원하고,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홍보 및 마케팅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또한, 미국과 일본 등 기존 수출 시장에서는 국제 인증 취득을 지원해 경쟁력을 제고할 계획입니다.
3. 굴 산업의 기초체력 강화
위생 및 안전 강화
굴 생산해역의 위생 관리를 위해 육·해상 오염원 차단 시설 설치를 지속적으로 추진합니다. 또한, 일반해역의 관리 수준을 수출용 지정해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제도 개선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법적 및 제도적 기반 마련
굴산업진흥법(가칭) 제정을 통해 굴 양식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자조금 확대와 같은 재정적 지원도 함께 추진할 계획입니다.
정책의 도전과 기회
이번 발전방안은 굴 양식산업의 근본적인 혁신과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입니다. 특히 개체굴 생산 확대는 초기 투자 비용과 기술적 한계를 극복해야 하는 과제이지만, 성공적으로 구현된다면 새로운 수익 모델과 시장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환경 변화와 위생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 HACCP'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CCP 위해요소 분석 정보 온라인 제공 확대: 중소기업의 효율적 식품안전 관리 지원 (0) | 2025.01.08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