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의약품안전처/화장품

급성장하는 K-뷰티, 해외 역직구 시장을 이끌다

by 청효행정사 2025. 5. 10.

반응형

목차

     

     

     

     

    가장 빠른 화장품 책임판매업 식약청 등록 - 크몽

    행정사법인청효 전문가의 창업·사업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식품의약품안전처 대관 업무를 전문으로 하고 있는 "행정사법인 청효" 입니다.(* 행정사는 ...

    kmong.com

     

    K-뷰티, 글로벌 시장에서 폭발적 성장 지속

    최근 한국 화장품 산업, 즉 K-뷰티의 해외 판매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그 위상이 더욱 공고해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해외 소비자들이 온라인 오픈마켓을 통해 직접 구매한 한국의 화장품과 향수 등 K-뷰티 제품의 역직구 규모는 9억 7,300만 달러(약 1조 4천억 원)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19년의 5,500만 달러 대비 약 17배 증가한 수치로, 한국 제품에 대한 전 세계 소비자의 선호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K-뷰티 역직구는 특히 전체 해외 역직구 총액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며 주요 10개 품목 중 1위를 기록했습니다. 해외 소비자들이 직접 제품을 선택하고 구매한다는 점에서 이는 더욱 의미 있는 성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직접 판매 급증으로 수출 다변화 실현

    한국 화장품의 온라인 직접 판매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화장품 총 수출액은 약 3조 8천억 원이며, 이 중 온라인 직접 판매액이 7,256억 원으로 전년 대비 28.3% 증가했습니다. 특히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온라인 구매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 지역에서 각각 36.7%, 35.1%의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온라인 판매가 급증하는 이유 중 하나는 다양한 제품군과 뛰어난 품질 때문입니다. 화장품은 특히 글로벌 온라인 플랫폼에서 인기를 얻어 수출 확대의 주요 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4월 화장품 수출 역대 최대 기록 경신

    지난 4월, 화장품 수출은 총 10억 3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20.8% 증가하며 역대 최고 기록을 달성했습니다. 특히 폴란드, 아랍에미리트(UAE), 프랑스와 같은 신규 시장에서의 수출이 2~3배 급증하면서 시장 다변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의 수출 증가율은 다소 둔화된 반면, 미국 시장은 크게 성장하여 중국과의 수출 점유율 차이가 3% 내외로 좁혀졌습니다. 이는 K-뷰티의 주요 수출 대상국이 중국에서 미국과 유럽 등으로 다변화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 육성 지원 강화로 글로벌 진출 가속화

    중소벤처기업부는 K-뷰티 중소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한 특화된 상담과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신규 시장 진출을 위한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수출 유망 기업 발굴과 육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중기부의 적극적인 지원은 K-뷰티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제도 강화로 글로벌 신뢰 확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내 화장품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안전성 평가 제도 도입을 본격적으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업계의 현황과 수요를 조사하고, 글로벌 규제와의 조화를 목표로 맞춤형 컨설팅과 간담회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안전성 평가 제도의 체계화는 한국 화장품 제품의 신뢰성을 더욱 강화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온라인과 모바일 쇼핑 중심의 소비 트렌드 변화

    2025년 1분기 화장품 소매 판매액은 전년 대비 5.9% 감소한 반면, 화장품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8.2% 증가하며 3조 4,436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모바일 쇼핑 거래액이 전체 온라인 거래액의 78.7%를 차지하면서 소비자들의 구매 채널이 급속도로 모바일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냈습니다.

     

    소비자들이 모바일 쇼핑을 선호하는 이유는 편의성과 접근성 때문이며, 기업들은 이러한 소비자 트렌드에 맞춰 모바일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본에서의 높은 K-뷰티 인기도 주목

    일본 뷰티 미디어 플랫폼 '미미뷰티(Mimi Beauty)'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일본 내 미용 관심층 중 약 90%가 최근 1년간 K-뷰티 제품을 사용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K-뷰티를 선택하는 주요 이유로는 가성비(55.2%), 품질(52.9%), SNS에서의 높은 화제성(51.5%) 등을 꼽았습니다.

     

    이러한 일본 소비자들의 K-뷰티에 대한 높은 관심과 선호도는 앞으로 일본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의 판매 확대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반응형

    댓글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