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의약품안전처/화장품

화장품 책임판매관리자, 아직도 못 구하셨나요?

by 청효행정사 2025. 6. 23.

목차

     

    비즈니스 배너

     

     

    가장 빠른 화장품 책임판매업 식약청 등록 - 크몽

    행정사법인청효 전문가의 창업·사업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p><strong><u>식품의약품안전처 대관 업무를 전문...

    kmong.com

     

     

    화장품 제조업 식약청 등록평면도 설계 포함 - 크몽

    행정사법인청효 전문가의 창업·사업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p><strong><u>식품의약품안전처 대관 업무를 전문...

    kmong.com

     


    '의사'는 어렵고 '농학사'는 되는 진짜 자격 요건 총정리

    나만의 화장품 브랜드를 런칭하는 꿈, 정말 멋진 일입니다. 하지만 그 꿈이 ‘화장품 책임판매관리자’라는 현실의 벽 앞에서 멈춰버리는 대표님들을 많이 뵙습니다.


    인터넷에 떠도는 모호한 정보와 복잡한 법 조항에 답답함을 느끼셨다면, 이 글 하나로 실질적인 기준과 함정까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책임판매관리자 자격 요건,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화장품법 시행규칙 제8조에 명시된 책임판매관리자의 자격은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면 충족됩니다. 단순히 법 조항만 보는 것이 아니라, 실제 등록 시 실무에서 요구되는 요소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① 의료인 (의사/약사)

    • 의사 또는 약사 면허를 소지한 경우
    • 실무 주의사항: 병원에 재직 중인 의사의 경우, 식약처 담당자가 ‘실질적 업무 수행이 가능한가’를 의심하여 등록을 반려하는 사례 다수

    ② 4년제 학사 학위자 (이공계 또는 화장품 관련 학과)

    • 이학사, 공학사, 향장학 등 관련 전공 학사
    • 실무 팁: ‘농학사’도 이공계로 인정되어 등록 가능
    • 주변 농대 졸업생 중 자격 조건을 갖춘 인재를 찾는 것도 좋은 전략

    ③ 전문학사 + 실무경력 1년

    • 전문대학에서 화장품 관련 학과 졸업
    • 졸업 후 화장품 제조/품질관리 업무 1년 이상 종사

    ④ 순수 실무 경력 2년 이상

    • 학력에 관계없이 화장품 관련 업무 2년 이상 경력 보유자

    ⑤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증 보유

    • 식약처 시행 자격시험 합격자
    • 별도 경력 필요 없음

    실무에서 겪는 진짜 문제: 의사 면허의 현실적인 한계

    법적으로는 등록 가능한 자격임에도, 실제 식약처 등록 시 병원 재직 여부가 문제가 됩니다. 이유는 단 하나, ‘업무 수행 가능성’.
    진료 일정이 빽빽한 의사가 제품 품질 및 안전 책임 업무까지 병행한다는 건 설득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실무 경험이 있는 전문가의 사전 진단 없이 ‘의사’ 등록을 시도하면 시간과 행정 비용만 낭비하게 됩니다.

    인터넷 정보에 속지 마세요: 겸직과 친구 찬스의 함정

    "친구가 회사 다니는데 이름만 빌려줘도 돼요?"
    "두 직업도 합법이라는데요?"

    이런 말에 속아 단순히 ‘서류상 등록’만 해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 정기감시 시

    • 급여 지급 여부
    • 출근 이력
    • 업무 수행 증빙

    이 없으면 ‘실질적 관리자 부재’로 간주되어 판매 또는 해당 품목 판매업무 정지 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생 브랜드일수록 더 큰 타격을 입기 때문에 등록은 ‘실제로 책임을 수행할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합니다.

    안전한 등록을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책임판매관리자 등록은 단순한 자격 요건 충족이 아닌, 사업 운영 전략의 핵심 요소입니다.
    등록 가능성은 개인 이력뿐 아니라 고용 구조, 겸직 여부, 실제 업무 수행 형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다음과 같은 고민이 있으신가요?

    • 농학사 지인이 있는데 자격이 되는지 확인하고 싶으신가요?
    • 가족 중 의사 면허 보유자가 있는데, 실질적 등록 가능 여부가 궁금하신가요?
    • 현재 직원이 겸직 중인데, 문제 없이 등록 가능한지 알고 싶으신가요?

    복잡한 규제와 해석의 차이 속에서, 가장 안전하고 빠른 길을 찾는 방법은 바로 실무 경험이 있는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입니다.

     

     


     

    네임카드





    댓글